티스토리 뷰
안녕하세요 오늘은 기후동행카드 신청 및 신청방법에 대해 빠르게 핵심만 요약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!
가파른 물가 상승으로 생활 물가가 오르고 있는 요즘, 서울시가 시민들의 생활 교통비 절약을 위해 무제한 교통카드를 판매하고 있습니다.
월 65,000원에 서울 지역 지하철, 버스, 전철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'기후동행카드'를 판매하고 있습니다.
🎫 판매 시작: 1월 23일 오전 7시
🎫 사용 시작: 1월 27일 첫차부터
[목차여기]
1. 기후동행카드란 무엇인가요?
기후동행카드는 한 번 충전으로 30일 동안 대중교통(지하철, 버스 등)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통합 대중교통 패스입니다.
처음 시행되는 정책이기 때문에 시범 운영 기간이 있다고 합니다.
🌐 사업 기간: 2024년 1월 27일(토) ~ 2024년 6월 30일(일)
🌐 사용 범위: 서울 지역 지하철, 서울시 면허 버스, 마을버스, 따릉이
2. 기후동행카드 요금은?
기후동행카드는 두 가지 요금제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🚊지하철 + 🚌버스 = 62,000원
🚊지하철 + 🚌 버스 + 🚲따릉이 = 65,000원
1월 23일 오전 7시부터 판매가 시작되므로, 카드를 구입하여 등록 후 1월 27일 첫차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.
3. 기후동행카드 구입 방법
기후동행카드는 💳실물 카드와 🎫모바일 카드로 나뉩니다.
그럼 실물 기후 컴패니언 카드의 구입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각 자치구 내 편의점의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.
💳 실물 카드
① 실물 카드 구입
- 실물 카드는 서울메트로(1~8호선) 고객안전실과 역사 인근 편의점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.
- 실물카드를 처음 구매할 때는 카드 구매 수수료 3,000원이 필요합니다.
- 최초 구매 이후에는 매월 충전 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② 실물 카드 등록 및 충전하기
- 실물 카드를 처음 구매하신 후 티머니 카드&홈페이지에서 카드를 등록하셔야 합니다(1인 1 카드 원칙).
- 카드를 등록하지 않으면 환불 및 승차할 수 없습니다.
- 구입한 카드는 역사 내 무인 충전소에서 충전할 수 있습니다.
- 1~8호선의 경우, 역사 내 고객안전실에서 현금 3,000원으로 카드를 구입한 후 충전 단말기에서 충전합니다.
역사 내 고객안전실에서는 현금 결제만 가능합니다.
- 9호선은 역사 내 편의점, 신림선, 우이신설선 편의점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.
🎫 모바일 카드
Ⓜ 모바일 카드 구매 및 등록 방법
① 모바일 티머니 앱 다운로드
② 티머니 앱에서 가입하기
③ 기후동행카드 발급 및 충전하기
시범사업이므로 결제 수단은 계좌 이체만 가능합니다.
향후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등으로 결제 수단을 확대할 예정입니다.
4. 기후동행카드 사용 방법
🚊지하철 + 🚌버스
기후동행카드 사용 시 지하철과 버스는 모바일(실물) 카드를 태그 하여 승하차합니다.
태그 하지 않은 하차 횟수가 2회 누적되면 마지막 승차 시간을 기준으로 24시간 동안 카드 사용이 정지됩니다.
🚲따릉이
기후동행카드 이용 시 '티머니 GO' 앱을 통해 기후동행카드 번호를 등록하면 이용 기간 동안 기후동행카드 1시간 이용권을 받을 수 있습니다.
5. 기후동행카드 환불 방법
🟢 일반적인 카드 환불 방법
1️⃣ 지하철 역사 내 교통카드 무인 충전기에 카드 인식 후 실물 카드 사용 정지 후 환불 신청(사용 기간 내 필요)
사용정지: 서울 1호선(서울역~청량리역), 2호선~8호선, 9호선(2~3단계), 우이신설선, 신림선 교통카드 충전소.
2️⃣ '티머니 카드&페이' 홈페이지에서 환불 신청(유효기간 포함 15일 이내여야 함)
❌ 고장카드 환불 방법(우편)
'티머니 카드&페이' 홈페이지에서 환불 봉투를 출력합니다.
✅ 출력방법
전체 메뉴> 고객센터> 티머니카드 환불> 가입카드 정상/오작동, 환불> 하단의 '우편 주문 환불 접수'를 클릭합니다.
환불 신청서와 오작동 카드를 동봉하여 환불 봉투를 우편으로 보내주세요.
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때 사용 가능한 지역이 있습니다.
아래 버튼을 통해 사용 가능 지역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지금까지 기후 동행 카드에 대해 알아봤는데요! 청년들에게 정말 좋은 혜택이지 않나요?😊
서울시가 가장 먼저 시행하고 있지만, 시범운영을 통해 개선점을 보완하면서 다른 지자체에서도 이 정책이 하루빨리 시행되기를 기대해 봅니다!
함께 읽으면 좋은 글